Ruby on Rails

[루비온레일즈] Rails로 웹 서비스 프로젝트 시작하기

_29 2021. 3. 5. 18:37

저번 포스팅에서 일단 맥 터미널에서 개발 관련 환경설정을 마쳤구요, 루비마인 프로그램 구독까지 완료했습니다!

 

2021/03/05 - [개발/Ruby] - [루비온레일즈] 01. Mac 개발환경설정

 

[루비온레일즈] 01. Mac 개발환경설정

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코딩을 시작하기 전에, 개발에 필요한 Mac 환경설정 방법을 공유합니다! 이 세팅은 rails를 비롯하여 x code, homebrew(맥 터미널에 있는 소프트웨어 설치 툴), rbenv(루비

igoo-it.tistory.com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코딩수업에서 배운 루비마인 기본 세팅과 웹서비스를 시작하는 방법을 풀어보겠습니다.


1. New Project 설정

먼저, 루비마인을 실행해서 new project를 시작합니다!

왼쪽 탭에 Application을 누른 후, Location에 맨 끝에 있는 untitled를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해줍니다. 저는 review로 했습니다.

 

그리고 나서 Rails Version을 6.0.3.4로 변경합니다. 현재 Rails의 가장 최신 버전은 6.11이지만, 제 설정에서는 6.11버전을 완전히 수행할 수 없어서 6.0.3.4로 하고 있습니다.

 

다음 Rails Template은 넘어가고, JavaScript Library에서 Stimulus를 선택합니다. 다음 하단의 박스를 체크하고 Preconfigure for selected database를 squlite3으로 설정하고 create로 새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.

 


2. DB 생성하기

새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잠시 기다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.

하단 터미널에 이것저것 작동하는 모습이 나오네요~

 

가장 먼저 DB(데이터 베이스)를 생성합니다.

DB 생성을 위해 상단 메뉴 중 Tools에서 Run Rake Task를 실행하고 db:create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줍니다.

 

터미널 창에

rake db:create

를 입력해도 똑같이 DB가 생성됩니다.


3. node.js, yarn, webpacker  설치

서버 실행을 위해 node.js 와 yarn, webpacker를 설치해야 합니다. (이들은 자바스크립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.)

위 이미지와 같이 맨 아래에 Terminal을 실행하여 brew install node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node.js를 설치합니다.

기존에 설치되어 있는데도 인식하지 못한다면, brew upgrade node 를 입력해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.

brew install node
brew upgrade node
brew install yarn
rails webpacker:install

위 명령어를 차례대로, 하나씩 설치하면서 입력합니다.

맨 위부터 node.js 설치, node.js 업데이트, yarn 설치, webpacker 설치 순서입니다.


4. 서버 실행하기

이렇게 세팅이 끝났으니, 한번 서버를 실행해보겠습니다!

화면 오른쪽 상단에 Development: review 에서 ▶(플레이버튼)을 눌러주시면 새 창이 켜지면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서버가 실행됩니다!

이제 인터넷 주소 창에 http://localhost:3000 또는 http://0.0.0.0:3000 이라고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서버가 실행되는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서버를 중지하고 싶으시면 ctrl+c 나 ■(중지 버튼) 을 누르면 됩니다.

생각보다 간단하더라구요!


오늘은 레일즈 환경설정을 통해 서버를 실행하는 것까지 리뷰해보았습니다!

 

코딩 수업을 시작한 지 얼마 안되어서 아직 아무것도 모르겠지만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가 있습니다! 언어나 html이나 레일즈를 능숙하게 다루게 될 줄 알게 된다면 언젠가 제가 원하는 웹을 제작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ㅎㅎ